시험 시행일 | 정답 확정일 | 성적 통지일 |
---|---|---|
2025년 11월 13일(목) | - | 2025년 12월 05일(금) |
교시 | 시험영역 | 시험시간 | 문항수 | 비고 |
---|---|---|---|---|
08:10 까지 수험생 입실 완료 | ||||
1 | 국어 | 08:40~10:00(80분) | 45 | - |
휴식 10:00~10:20 (20분) | ||||
2 | 수학 | 10:30~12:10(100분) | 30 | 단답형 30% 포함 |
중식 12:10~13:00(50분) | ||||
3 | 영어 | 13:00~14:20(70분) | 45 | 듣기평가 문항 17개 포함 (13:10 부터 25분 이내) |
휴식 14:20~14:40(20분) | ||||
4 | 한국사, 탐구(사회,과학,직업) |
14:50~16:37(107분) | - | - |
한국사 | 14:50~15:20(30분) | 20 | 필수영역 | |
한국사 영역 문/답지 회수 탐구영역 문/답지 배부 |
15:20~15:35(15분) | - | 문/답지 회수 및 배부 시간 15분 (탐구 영역 미선택자 대기실 이동) |
|
탐구(사회/과학/직업) 중 2과목 선택 |
15:35~16:05(30분) | 20 | 선택 과목 응시 순서는 응시원서에 명기된 탐구 영역별 과목의 순서에 따라야 함. 문제지 회수 시간은 과목당 2분 |
|
시험 본 과목 문제지 회수 |
16:05~16:07(2분) | - | ||
탐구(사회/과학/직업) 중 1~2과목 선택 |
16:07~16:37(30분) | 20 | ||
휴식 16:37~16:55(18분) | ||||
5 | 제2외국어/한문 | 17:05~17:45(40분) | 30 | 듣기평가는 실시하지 않음. |
1~3월 | 3~6월 | 6~9월 | 9~11월 |
---|---|---|---|
개념 완성 학기가 시작되면 내신, 생기부 등으로 바빠지므로 온전히 개념 완성에 집중할 수 있는 마지막 시기입니다. |
개념 심화 3월 학평을 통해 몰랐거나 오개념을 파악 후 6월 모평 전까지 부족한 부분을 완성합니다. |
개념 보완 6월 모평 결과를 기반으로 전략적인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틀린 단원들 중 최다 빈출 단원부터 개념을 잡고 갑니다. |
파이널 실전 연습을 통해 최종 점검을 합니다. 또한 수능 리듬에 맞춰 생활 리듬도 맞출 수 있게 노력합니다. |
시행월 | 시행일 | 주관 |
---|---|---|
3월 | 26(수) | 서울특별시교육청 |
4월 | - | - |
5월 | 8(목) | 경기도교육청 | 6월 | 3(화) | 학국교육과정평가원 |
7월 | 10(목) | 인천광역시교육청 |
8월 | - | - |
9월 | 3(수)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10월 | 14(화) | 서울특별시교육청 |
구분 | 일정 |
---|---|
원서 접수 | 2025.02.03(월) ~ 2025.02.07(금) |
필기시험 | 2025.04.05(토) |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 | 2025.05.09(금) |
면접 시험 | 2025.05.28(수) ~ 2025.06.02(월) |
면접 시험 합격자 발표 | 2025.06.20(금) |
구분 | 일정 |
---|---|
원서 접수 | 2025.03.24(월) ~ 2025.03.28(금) |
필기시험 | 2025.06.21(토) |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 | - |
면접 시험 | 2025년 8월 말 ~ 9월 중 |
면접 시험 합격자 발표 | 2025년 9월말 |
구분 | 시험 시간 | 진행 내용 | |
---|---|---|---|
응시자 교육 등 OT | 09:20~10:00 | 40분 | 09:20까지 시험실 입실 |
시험 시행 | 10:00~11:40 | 100분 | 5개 필수과목 (과목당 20문항/총 100문항/4지선다형) |
직류 | 공통과목 | 전문과목 |
---|---|---|
일반행정(일반, 우정, 경찰) | 국어 영어 한국사 |
행정법총론, 행정학개론 |
선거행정 | 공직선거법, 행정법총론 | |
고용노동 | 노동법개론 행정법총론 | |
작업상담 | 노동법개론, 직업상담·심리학개론 | |
세무 | 세법개론, 회계학 | |
관세 | 관세법개론, 회계원리 | |
통계 | 통계학개론, 경제학개론 | |
교정 | 교정학개론, 형사소송법개론 | |
보호 | 형사정책개론, 사회복지학개론 | |
검찰 | 형법, 형사소송법 | |
마약수사 | 형법, 형사소송법 | |
출입국관리 | 행정법총론, 국제법개론 | |
철도경찰 | 형사소송법개론, 형법총론 |
직류 | 공통과목 | 전문과목 |
---|---|---|
일반행정 | 국어 영어 한국사 |
행정법총론, 행정학개론 |
교육행정 | 교육학개론, 행정법총론 | |
지방세 | 지방세법, 회계학 | |
사회복지 | 사회복지학개론, 행정법총론 | |
사서 | 자료조직개론, 정보봉사개론 | |
속기 | 행정법총론, 행정학개론 | |
전산 | 컴퓨터일반, 정보보호론 |
7~8월 | 9~10월 | 11~2월 | 3~6월 |
---|---|---|---|
기본서 학습 기본서를 완독하세요. 한 번에 모든 이론을 완벽하게 끝낸다기 보다는 우선 처음부터 끝까지 학습하겠다는 목표로 공부하세요. |
기출 학습 기출 회독을 반복하고 점차 늘려가세요. |
문제풀이 / 심화 학습 문제풀이를 통해서 이론 학습을 점검하며 부족한 내용을 보충하세요. |
최종 마무리(모의고사) 마지막 실전 연습입니다. 동형 모고, 하프 모고 등으로 실전 감각을 익히면서 최종적으로 점검하세요. |
구분 | 일정 |
---|---|
원서 접수 | 2025.05.12(월) ~ 2025.05.16(금) |
1차 필기시험 (PSAT) | 2025.07.19(토) |
1차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 | 2025.08.20(수) |
2차 필기시험 | 2025.9.20(토) |
2차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 | 2025.10.30(목) |
면접 시험 | 2025.11.24(월)~2025.11.27(목) |
면접 시험 합격자 발표 | 2025.12.12(금) |
구분 | 일정 |
---|---|
원서 접수 | 2025.07.21(월) ~ 2025.07.25(금) |
필기시험 | 2025.11.01(토) |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 | - |
면접 시험 | 12월 중 |
면접 시험 합격자 발표 | 2026년 1월 초 |
구분 | 시험 시간 | 진행 내용 | |
---|---|---|---|
응시자 교육 등 | 13:00~13:30 | 30분 | 13:00까지 시험실 입실 |
1교시 | 13:30~15:30 | 120분 | 언어논리영역, 상황판단영역 |
휴식시간 | 15:30~16:00 | 30분 | 16:00까지 시험실 입실 |
응시자 교육 등 | 16:00~16:30 | 30분 | 소지품 검사, 답안지 배부 등 |
2교시 | 16:30~17:30 | 60분 | 자료해석영역 |
구분 | 시험 시간 | 진행 내용 | |
---|---|---|---|
응시자 교육 등 | 09:20~10:00 | 40분 | 09:20까지 시험실 입실 |
시험 시행 | 10:00~11:40 | 100분 | 4개 전문 과목 |
구분 | 시험 시간 | 진행 내용 | |
---|---|---|---|
응시자 교육 등 | 09:20~10:00 | 40분 | 09:20까지 시험실 입실 |
시험 시행 | 10:00~11:40 | 100분 | 5개 전문 과목 |
구분 | 과목 | 문항 수 |
---|---|---|
1차 시험 | 영어, 한국사 | 검정시험 |
PSAT(3개 영역) | 영역별 각 25문항 | |
2차 시험 | 헌법 | 25문항 |
행정법 | 25문항 | |
행정학 | 25문항 | |
경제학 | 25문항 |
과목 | 국어 | 영어/한국사 | 헌법 | 행정법 | 행정학 | 선택과목 |
---|---|---|---|---|---|---|
문항 수 | 20문항 | 검정시험 | 20문항 | 20문항 | 20문항 | 20문항 |
영역 | 영역 설명 | 시간 | 점수(만점) |
---|---|---|---|
언어 논리 | 언어 이해력과 논리학적 사고력측정 영역 | 60분 | 100점 |
자료 해석 | 각종 자료에 대한 해석 눙력울 측정하는 영역 | ||
상황 판단 | 주어진 상황을 활용하여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영역 |
직류 | 2차 시험(전문 과목) |
---|---|
일반 행정(일반, 우정) | 헌법, 행정법, 행정학, 경제학 |
인사조직 | 헌법, 행정법, 행정학, 인사·조직론 |
재경 | 헌법, 행정법, 경제학, 회계학 |
고용노동 | 헌법, 노동법, 행정법, 경제학 |
교육행정 | 헌법, 행정법, 교육학, 행정학 |
회계 | 헌법, 행정법, 회계학, 경제학 |
선거행정 | 헌법, 행정법, 행정학, 공직선거법 |
세무 | 헌법, 세법, 회계학, 경제학 |
관세 | 헌법, 행정법, 관세법, 무역학 |
통계 | 헌법, 행정법, 통계학, 경제학 |
감사 | 헌법, 행정법, 회계학, 경영학 |
교정 | 헌법, 교정학, 형사소송법, 행정법 |
보호 | 헌법, 형사소송법, 심리학, 형사정책 |
검찰 | 헌법, 형법, 형사소송법, 행정법 |
출입국관리 | 헌법, 행정법, 국제법, 형사소송법 |
외무영사 | 헌법, 국제정치학, 국제법, 제2외국어(검정능력시험으로 대체) |
직류 | 전문 과목 |
---|---|
일반 행정 | 행정법, 행정, 선택과목(경제학원론, 지방자치론, 지역개발론 中 택 1 ) |
지방세 | 지방세법, 회계학, 선택과목(경제학원론, 지방자치론, 지방재정론 中 택1 ) |
감사 | 행정법, 회계학, 경영학 |
법무행정 | 행정법, 민법, 민사소송법 |
시험명 | TOEFL | TOEIC | TEPS | G-TELP | FLEX | ||
---|---|---|---|---|---|---|---|
PBT | PBT | 18.5.12 전 | 18.5.12 후 | ||||
외무영사직 제외 | 530 | 71 | 700 | 625 | 340 | 65(level2) | 625 |
외무영사직 | 567 | 86 | 790 | 700 | 385 | 77(level2) | 700 |
시험종류 | 심화 | 기본 |
---|---|---|
인증등급 | 1급(80점 이상) | 4급 (80점 이상) |
2급 (70~79점) | 5급 (70~79점) | |
3급 (60~69점) | 6급 (60~69점) | |
문항수 | 50문항 | 50문항 |
문항 유형 | 5지선다형 | 4지선다형 |
이론 학습 | 이론 + 기출 | 기출 회독 & 요약 | 2차 시험 대비 |
---|---|---|---|
이론 학습을 전체적으로 1회 보는것을 목표로 하되, 가능하다면 이론을 회독해 봅니다. | 이론 학습을 병행하며 기출 학습 진행합니다. 어려웠던 과목 위주로 이론 학습을 합니다. | 국가직의 경우, 1차 시험이 다가올수록 1차 시험을 올려서 공부하세요. 지방직의 경우 기출을 회독하며 모든 선지에 대한 이론과 개념을 파악해 보세요. | 국가직, 지방직을 둘다 접수한 경우, 추가과목을 공부하세요. 기출회독을 꾸준히 반복하며 오답노트와 요약노트를 위주로 학습하세요. |
이론 학습 | 이론 + 기출 | 기출 회독 & 요약 | 2차 시험 대비 |
---|---|---|---|
이론 학습을 전체적으로 1회 보는것을 목표로 하되, 가능하다면 이론을 회독해 봅니다. | 이론 학습을 병행하며 기출 학습 진행합니다. 어려웠던 과목 위주로 이론 학습을 합니다. | 국가직의 경우, 1차 시험이 다가올수록 1차 시험을 올려서 공부하세요. 지방직의 경우 기출을 회독하며 모든 선지에 대한 이론과 개념을 파악해 보세요. | 국가직, 지방직을 둘다 접수한 경우, 추가과목을 공부하세요. 기출회독을 꾸준히 반복하며 오답노트와 요약노트를 위주로 학습하세요. |
회차 | 시험일시 | 성적발표일 | 접수기간 |
---|---|---|---|
제 533 회 | 2025.01.12 (일) 오전 9시 20분 |
2025.01.21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4.11.25 (월) 오전 10시~ 2024.12.30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01.01 (수) 오전 10시~ 2025.01.09 (목) 오후 1시 |
제534회 | 2025.01.26 (일) 오전 9시20분 | 2025.02.06 (목) 낮 12시 |
정기접수 : 2024.12.09 (월) 오전 10시~ 2025.01.13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01.15 (수) 오전 10시~ 2025.01.23 (목) 오후 1시 |
제535회 | 2025.02.09 (일) 오전 9시20분 | 2025.02.18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4.12.23 (월) 오전 10시~ ~ 2025.01.27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01.29 (수) 오전 10시~ 2025.02.06 (목) 오후 1시 |
제536회 | 2025.02.15 (토) 오전 9시20분 | 2025.02.25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4.12.30 (월) 오전 10시~ 2025.02.03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02.05 (수) 오전 10시~ 2025.02.12 (수) 오후 1시 |
제537회 | 2025.02.23 (일) 오전 9시20분 | 2025.03.04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5.01.06 (월) 오전 10시~ 2025.02.10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02.12 (수) 오전 10시~ 2025.02.20 (목) 오후 1시 |
제538회 | 2025.03.09 (일) 오전 9시20분 | 2025.03.18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5.01.20 (월) 오전 10시~ 2025.02.24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02.26 (수) 오전 10시~ 2025.03.06 (목) 오후 1시 |
제539회 | 2025.03.30 (일) 오전 9시20분 | 2025.04.08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5.02.10 (월) 오전 10시~ 2025.03.17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03.19 (수) 오전 10시~ 2025.03.27 (목) 오후 1시 |
제540회 | 2025.04.13 (일) 오전 9시20분 | 2025.04.22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5.02.24 (월) 오전 10시~ 2025.03.31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04.02 (수) 오전 10시~ 2025.04.10 (목) 오후 1시 |
제541회 | 2025.04.27 (일) 오전 9시20분 | 2025.05.06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5.03.10 (월) 오전 10시~ 2025.04.14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04.16 (수) 오전 10시~ 2025.04.24 (목) 오후 1시 |
제542회 | 2025.05.11 (일) 오전 9시20분 | 2025.05.20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5.03.24 (월) 오전 10시~ 2025.04.28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04.30 (수) 오전 10시~ 2025.05.08 (목) 오후 1시 |
제543회 | 2025.05.31 (토) 오전 9시20분 | 2025.06.10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5.04.14 (월) 오전 10시~ 2025.05.19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05.21 (수) 오전 10시~ 2025.05.28 (수) 오후 1시 |
제544회 | 2025.06.15 (일) 오전 9시20분 | 2025.06.24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5.04.28 (월) 오전 10시~ 2025.06.02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06.04 (수) 오전 10시~ 2025.06.12 (목) 오후 1시 |
제545회 | 2025.06.29 (일) 오전 9시20분 | 2025.07.08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5.05.12 (월) 오전 10시~ 2025.06.16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06.18 (수) 오전 10시~ 2025.06.26 (목) 오후 1시 |
제546회 | 2025.07.13 (일) 오전 9시20분 | 2025.07.22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5.05.26 (월) 오전 10시~ 2025.06.30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07.02 (수) 오전 10시~ 2025.07.10 (목) 오후 1시 |
제547회 | 2025.07.27 (일) 오전 9시20분 | 2025.08.05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5.06.09 (월) 오전 10시~ 2025.07.14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07.16 (수) 오전 10시~ 2025.07.24 (목) 오후 1시 |
제548회 | 2025.08.10 (일) 오전 9시20분 | 2025.08.19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5.06.23 (월) 오전 10시~ 2025.07.28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07.30 (수) 오전 10시~ 2025.08.07 (목) 오후 1시 |
제549회 | 2025.08.24 (일) 오전 9시20분 | 2025.09.02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5.07.07 (월) 오전 10시~ 2025.08.11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08.13 (수) 오전 10시~ 2025.08.21 (목) 오후 1시 |
제550회 | 2025.08.31 (일) 오전 9시20분 | 2025.09.09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5.07.14 (월) 오전 10시~ 2025.08.18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08.20 (수) 오전 10시~ 2025.08.28 (목) 오후 1시 |
제551회 | 2025.09.14 (일) 오전 9시20분 | 2025.09.23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5.07.28 (월) 오전 10시~ 2025.09.01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09.03 (수) 오전 10시~ 2025.09.11 (목) 오후 1시 |
제552회 | 2025.09.28 (일) 오전 9시20분 | 2025.10.07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5.08.11 (월) 오전 10시~ 2025.09.15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09.17 (수) 오전 10시~ 2025.09.25 (목) 오후 1시 |
제553회 | 2025.10.18 (토) 오전 9시20분 | 2025.10.28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5.09.01 (월) 오전 10시~ 2025.10.06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10.08 (수) 오전 10시~ 2025.10.15 (수) 오후 1시 |
제554회 | 2025.10.26 (일) 오전 9시20분 | 2025.11.06 (목) 낮 12시 |
정기접수 : 2025.09.08 (월) 오전 10시~ 2025.10.13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10.15 (수) 오전 10시~ 2025.10.23 (목) 오후 1시 |
제555회 | 2025.11.09 (일) 오전 9시20분 | 2025.11.18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5.09.22 (월) 오전 10시~ 2025.10.27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10.29 (수) 오전 10시~ 2025.11.06 (목) 오후 1시 |
제556회 | 2025.11.30 (일) 오전 9시20분 | 2025.12.09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5.10.13 (월) 오전 10시~ 2025.11.17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11.19 (수) 오전 10시~ 2025.11.27 (목) 오후 1시 |
제557회 | 2025.12.07 (일) 오전 9시20분 | 2025.12.16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5.10.20 (월) 오전 10시~ 2025.11.24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11.26 (수) 오전 10시~ 2025.12.04 (목) 오후 1시 |
제558회 | 2025.12.28 (일) 오전 9시20분 | 2026.01.06 (화) 낮 12시 |
정기접수 : 2025.11.10 (월) 오전 10시~ 2025.12.15 (월) 오전 10시 특별추가 : 2025.12.17 (수) 오전 10시~ 2025.12.24 (수) 오후 1시 |
구성 | 파트 | 파트별 문항수 | 시간 | 배점 | |||
---|---|---|---|---|---|---|---|
Listening Comprehension | 1 | 사진묘사 | 6 | 100 | 45분 | 495점 | |
2 | 질의응답 | 25 | |||||
3 | 짧은대화 | 39 | |||||
4 | 설명문 | 30 | |||||
Reading Comprehension | 5 | 단문공란 메우기(문법/어휘) | 30 | 100 | 75분 | 495점 | |
6 | 장문공란 메우기 | 16 | |||||
7 | 독해 | 단일지문 | 29 | ||||
복수지문 | 25 | ||||||
Total | 7 Parts | 200문항 | 120분 | 990점 |
시간 | 내용 | 비고 |
---|---|---|
AM 09:30 ~ 09:45 (15분) | 답안지 작성에 관한 Orientation | - |
AM 09:45 ~ 09:50 (05분) | 수험자 휴식시간 | - |
AM 09:50 ~ 10:05 (15분) | 신분 확인 및 휴대폰 제출 | 방송 점검 실시 |
AM 10:05 ~ 10:10 (05분) | 문제지 배부 및 파본 확인 | - |
AM 10:10 ~ 10:55 (45분) | 듣기평가(L/C) | - |
AM 10:55 ~ 12:10 (75분) | 읽기평가(R/C) | - |
시간 | 내용 | 비고 |
---|---|---|
PM 02:30 ~ 02:45 (15분) | 답안지 작성에 관한 Orientation | - |
PM 02:45 ~ 02:50 (05분) | 수험자 휴식시간 | - |
PM 02:50 ~ 03:05 (15분) | 신분 확인 및 휴대폰 제출 | 방송 점검 실시 |
PM 03:05 ~ 03:10 (05분) | 문제지 배부 및 파본 확인 | - |
PM 03:10 ~ 03:55 (45분) | 듣기평가(L/C) | - |
PM 03:55 ~ 05:10 (75분) | 읽기평가(R/C) | - |
회차 | 시험 일시 | 성적발표일 | 접수기간 |
---|---|---|---|
1회차 | 2025.07.05(일) | - 온라인 : 8월 - 우편 : 9월 |
- |
2회차 | 2024.12.07(일) | - 온라인 : 26년 1월 - 우편 : 26년 2월 |
- |
입실시간 | 레벨 | 1교시 | 휴식 | 2교시 | |
---|---|---|---|---|---|
13:10 | N1 | 언어지식(문자·어휘·문법)·독해 13:30 ~ 15:20 |
15:20 ~ 15:40 | 청해 15:40 ~ 16:40 |
|
N2 | 언어지식(문자·어휘·문법)·독해 13:30 ~ 15:15 |
15:15 ~ 15:35 | 청해 15:35 ~ 16:30 |
||
N3 | 언어지식(문자·어휘) 13:30 ~ 14:00 |
언어지식(문법)·독해 14:05 ~ 15:15 |
15:15 ~ 15:35 | 청해 15:35 ~ 16:20 |
|
N4 | 언어지식(문자·어휘) 13:30 ~ 13:55 |
언어지식(문법)·독해 14:00 ~ 14:55 |
14:55 ~ 15:15 | 청해 15:15 ~ 15:55 |
|
N5 | 언어지식(문자·어휘) 13:30 ~ 13:50 |
언어지식(문법)·독해 13:55 ~ 14:35 |
14:35 ~ 14:55 | 청해 14:55 ~ 15:30 |
레벨 | 과목별 시간 | 인정기준 | |
---|---|---|---|
유형별 | 시간 | ||
N1 | 언어지식(문자·어휘·문법) 독해 | 110분 | 기존시험 1급보다 다소 높은 레벨까지 측정 |
청해 | 60분 | • 읽기
- 논리적으로 약간 복잡하고 추상도가 높은 문장등을 읽고, 문장의 구성과 내용을 이해할 수 있으면, 다양한 화재의 글을 읽고, 이야기의 흐름이나 상세한 표현의도를 이해할 수 있다. • 듣기 - 자연스러운 속도의 체계적 내용의 회화나 뉴스, 강의를 듣고, 내용의 흐름 및 등장인물의 관계나 내용의 논리구성 등을 상세히 이해하거나,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
|
계 | 170분 | ||
N2 | 언어지식(문자·어휘·문법) 독해 | 105분 | 기존시험의 2급과 거의 같은 레벨 |
청해 | 50분 | • 읽기
- 신문이나 잡지의 기사나 해설 평이한 평론 등, 논지가 명쾌한 문장을 읽고 문장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화제에 관한 글을 읽고, 이야기의 흐름이나 표현의도를 이해할 수 있다. • 듣기 - 자연스러운 속도의 체계적 내용의 회화나 뉴스를 듣고, 내용의 흐름 및 등장인물의 관계를 이해하거나,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
|
계 | 155분 | ||
N3 | 언어지식(문자·어휘) | 105분 | 기존시험의 2급과 3급사이에 해당하는 레벨(신설) |
언어지식(문법)·독해 | • 읽기
- 일상적인 화제에 구체적인 내용을 나타내는 문장을 읽고 이해할 수 있으며, 신문의 기사제목등에서 정보의 개요를 파악할 수 있다. 일상적인 장면에서 난이도가 약간 높은 문장을 바꿔 제시하며 요지를 이해할 수 있다. • 듣기 - 자연스러운 속도의 체계적 내용의 회화를 듣고, 이야기의 구체적인 내용을 등장인물의 관계등과 함께 거의 이해할 수 있다. |
||
청해 | 40분 | ||
계 | 145분 | ||
N4 | 언어지식(문자·어휘) | 85분 | 기존시험 3급과 거의 같은 레벨 |
언어지식(문법)·독해 | • 읽기
- 기본적인 어휘나 한자로 쓰여진, 일상생활에서 흔하게 일어나는 화제의 문장을 읽고 이해할 수 있다. • 듣기 - 일상적인 장면에서 다소 느린 속도의 회화라면 거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
||
청해 | 35분 | ||
계 | 120분 | ||
N5 | 언어지식(문자·어휘) | 65분 | 기존시험 4급과 거의 같은 레벨 |
언어지식(문법)·독해 | • 읽기
- 히라가나나 가타가나,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기본적인 한자로 쓰여진 정형화된 어구나, 문장을 읽고 이해할 수 있다. • 듣기 -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장면에서 느리고 짧은 회화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얻어낼 수 있다. |
||
청해 | 30분 | ||
계 | 95분 |
실시권역 | 시험장 설치 지역 |
---|---|
서울권 | 서울, 인천, 수원, 성남, 안양, 고양, 부천, 천안, 청주, 대전, 전주, 광주, 춘천, 원주 |
부산권 | JLPT 부산사무국(www.bsjlpt.or.kr) - 영남지역 |
제주권 | JLPT 제주사무국(www.jlpt.or.kr) |
구분 | 수험료 | |
---|---|---|
일반접수 | N1 ~ N3 | 65,000 원 |
N4 ~ N5 | 50,000 원 | |
추가접수 | N1 ~ N3 | 71,500 원 |
N4 ~ N5 | 55,000 원 |
구분 | 합격점 | 기준점 | ||
---|---|---|---|---|
언어지식 | 독해 | 청해 | ||
N1 | 100 | 19 | 19 | 19 |
N2 | 90 | 19 | 19 | 19 |
N3 | 95 | 19 | 19 | 19 |
N4 | 90 | 38 | 19 | |
N5 | 80 | 38 | 19 |
회차 | 시험일시 | 성적발표일 | 접수기간 |
---|---|---|---|
제393회 | 2025.01.19 (일) 오전 9시 20분 |
2025.01.24 (금) 15:00 |
정기접수 : 2024.12.09 (월) 10:00~ 2025.01.14 (화) 12:00 특별추가 : 2025.01.14 (화) 14:00~ 2025.01.16 (목) 12:00 |
제394회 | 2025.02.16 (일) 오전 9시20분 | 2025.02.21 (금) 15:00 |
정기접수 : 2024.12.30 (월) 10:00~ 2025.02.11 (화) 12:00 특별추가 : 2025.02.11 (화) 14:00~ 2025.02.13 (목) 12:00 |
제395회 | 2025.03.16 (일) 오전 9시20분 | 2025.03.21 (금) 15:00 |
정기접수 : 2025.02.03 (월) 10:00~ 2025.03.11 (화) 12:00 특별추가 : 2025.03.11 (화) 14:00~ 2025.03.13 (목) 12:00 |
제396회 | 2025.04.20 (일) 오전 9시20분 | 2025.04.25 (금) 15:00 |
정기접수 : 2025.03.10 (월) 10:00~ 2025.04.15 (화) 12:00 특별추가 : 2025.04.15 (화) 14:00~ 2025.04.17 (목) 12:00 |
제397회 | 2025.05.25 (일) 오전 9시20분 | 2025.05.30 (금) 15:00 |
정기접수 : 2025.04.14 (월) 10:00~ 2025.05.20 (화) 12:00 특별추가 : 2025.05.20 (화) 14:00~ 2025.05.22 (목) 12:00 |
제398회 | 2025.06.22 (일) 오전 9시20분 | 2025.06.27 (금) 15:00 |
정기접수 : 2025.05.12 (월) 10:00~ 2025.06.17 (화) 12:00 특별추가 : 2025.06.17 (화) 14:00~ 2025.06.19 (목) 12:00 |
제399회 | 2025.07.20 (일) 오전 9시20분 | 2025.07.25 (금) 15:00 |
정기접수 : 2025.06.09 (월) 10:00~ 2025.07.15 12:00 특별추가 : 2025.07.15 (화) 14:00~ 2025.07.17 (목) 12:00 |
제400회 | 2025.08.17 (일) 오전 9시20분 | 2025.08.22 (금) 15:00 |
정기접수 : 2025.07.07 (월) 10:00~ 2025.08.12 (화) 12:00 특별추가 : 2025.08.12 (화) 14:00~ 2025.08.14 (목) 12:00 |
제401회 | 2025.09.21 (일) 오전 9시20분 | 2025.09.26 (금) 15:00 |
정기접수 : 2025.08.11 (월) 10:00~ 2025.09.16 (화) 12:00 특별추가 : 2025.09.16 (화) 14:00~ 2025.09.18 (목) 12:00 |
제402회 | 2025.10.19 (일) 오전 9시20분 | 2025.10.24 (금) 15:00 |
정기접수 : 2025.09.01 (월) ~ 2025.10.14 (화) 12:00 특별추가 : 2025.10.14 (화) 14:00~ 2025.10.16 (목) 12:00 |
제403회 | 2025.11.23 (일) 오전 9시20분 | 2025.11.28 (금) 15:00 |
정기접수 : 2025.10.13 (월) 10:00~ 2025.11.18 (화) 12:00 특별추가 : 2025.11.18 (화) 14:00~ 2025.11.20 (목) 12:00 |
제404회 | 2025.12.21 (일) 오전 9시20분 | 2025.12.26 (금) 15:00 |
정기접수 : 2025.11.10 (월) 10:00~ 2025.12.16 (화) 12:00 특별추가 : 2025.12.16 (화) 14:00~ 2025.12.18 (목) 12:00 |
구분 | 유형 | 문항수 | 시간 | 배점 |
---|---|---|---|---|
청해 | Part 1 : 사진묘사 | 20문항 | 45분 | 495점 |
Part 2 : 질의응답 | 30문항 | |||
Part 3 : 회화문 | 30문항 | |||
Part 4 : 설명문 | 20문항 | |||
독해 | Part 5 : 정답찾기 | 20문항 | 50분 | 495점 |
Part 6 : 오문정정 | 20문항 | |||
Part 7 : 공란메우기 | 30문항 | |||
Part 8 : 독해 | 30문항 | |||
합계 | 200문항 | 95분 | 990점 |
유형 | 문항수 | 설명 | |
---|---|---|---|
Part 1 | 사진묘사 | 20문항 | 청해의 첫 도입부로 대상자가 Non-native인 점을 염두에 두고 의도적으로 사진이라는 시각적인 수단과 음성 언어를 통하여 응시자의 청취에 대한 심적 부담을 덜어줌과 동시에 음성이 귀에 익숙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청취력 및 순간적인 판단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
Part 2 | 질의응답 | 30문항 | 질의응답 문제는 간단한 회화 문장으로 연이어 이어지는 문장의 의미를 파악, 순간적인 판단 능력을 요구하는 것으로써 자신이 대화에 직접 참여하여 상대방의 말이나 물음에 적절한 대답을 하거나 긍정 또는 부정을 나타내어 자신의 생각을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는 능력까지 평가할 수 있습니다. |
Part 3 | 회화문 | 30문항 | 회화문을 들으며 동시에 그 회화가 진행되고 있는 장면, 이야기 내용등의 개괄적 혹은 구체적인 정보나 사실을 짧은 대화중에서 정확하게 청취하는 능력과 대화에서 결론을 추론해 내는 능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
Part 4 | 설명문 | 20문항 | 설명문은 청해 문제 중 가장 어려운 부분에 속합니다. Part 1, 2에서는 간단한 구어체로써 일본어의 이해도를 테스트하고 이어 PART 3에서는 일상의 회화 능력을 시험할 수 있으며 Part 4에 이르러서는 설명문을 읽어주고 그것을 바탕으로 한 3 - 4개의 질문을 제시함으로써 상당한 수준의 종합적인 일본어 능력을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
유형 | 문항수 | 설명 | |
---|---|---|---|
Part 5 | 정답찾기 | 20문항 | 일본어에 있어 기본이 되는 한자 및 표기 능력을 통해 한자의 자체와 음, 훈에 관한 올바른 이해와 전반적인 문법, 어휘를 통한 일본어 문장 작성의 기초적인 능력을 평가함으로써 일본어 전반에 걸친 지식이 골고루 학습되어 있는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
Part 6 | 오문정정 | 20문항 | 틀린 곳이나 부적절한 부분을 지적한다는 것은 잘못된 부분이 왜 잘못되어 있는가를 모르고서는 정확히 틀린 곳을 지적할 수 없으므로 단순한 독해력 테스트가 아닌 표현 능력, 즉 간접적인 작문 능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
Part 7 | 공란메우기 | 30문항 | 불완전한 문장을 문장 속에서 전후 관계를 정확히 파악해 완전한 문장으로 완성시킬 수 있는가를 평가함으로써 표현력과 문법 그리고 간접적인 작문 능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
Part 8 | 독해 | 30문항 | 표면적인 이해력보다는 일상 생활 속에서 문자를 매체로 정보를 얼마나 빨리 그리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가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독해력의 종합적인 면으로써 그 내용에서 결론을 추론해 낼 수 있는가 즉 그 글의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가를 파악함으로써 사고력, 판단력, 분석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
구분 | 수험료 |
---|---|
일반접수 | 43,500원 |
추가접수 | 47,800원 |
시험일자 | 급수 | 접수 일정(인터넷 접수) | 성적조회 예정일 |
---|---|---|---|
1월 12일 (일) | HSK IBT 1 ~ 6 급 | 2025년 11월 29일(금) ~ 2025년 1월 2일(목) | 1월 27일(월) |
2월 16일(일) | HSK IBT 1 ~ 6 급 | 2025년 1월 2일(목) ~ 2025년 2월 6일(목) | 3월 3일(월) |
3월 22일(토) | HSK IBT 1 ~ 6 급 | 2025년 2월 6일(목) ~ 2025년 3월 12일(수) | 4월 7일(월) |
4월 12일(토) | HSK IBT 1 ~ 6 급 | 2025년 2월 27일(목) ~ 2025년 4월 2일(수) | 4월 28일(월) |
5월 17일(토) | HSK IBT 1 ~ 6 급 | 2025년 4월 3일(목) ~ 2025년 5월 7일(수) | 6월 3일(화) |
6월 22일(토) | HSK IBT 1 ~ 6 급 | 2025년 5월 9일(금) ~ 2025년 6월 12일(목) | 7월 7일(월) |
7월 19일(토) | HSK IBT 1 ~ 6 급 | 2025년 6월 5일(목) ~ 2025년 7월 9일(수) | 8월 4일(월) |
8월 17일(일) | HSK IBT 1 ~ 6 급 | 2025년 7월 4일(금) ~ 2025년 8월 7일(목) | 9월 1일(월) |
9월 7일(일) | HSK IBT 1 ~ 6 급 | 2025년 7월 25일(금) ~ 2025년 8월 28일(목) | 9월 22일(월) |
10월 18일(토) | HSK IBT 1 ~ 6 급 | 2025년 9월 4일(목) ~ 2025년 10월 8일(수) | 11월 3일(월) |
11월 15일(토) | HSK IBT 1 ~ 6 급 | 2025년 10월 2일(목) ~ 2025년 11월 5일(수) | 12월 1일(월) |
12월 7일(일) | HSK IBT 1 ~ 6 급 | 2025년 10월 24일(금) ~ 2025년 11월 27일(목) | 12월 22일(월) |
시험일자 | 굽수 | 접수 일정(인터넷 접수) | 성적조회 예정일 |
---|---|---|---|
1월12일(일) | HSK 1 ~ 6 급 | • 인터넷접수 : 2024년 11월 28일(목) ~ 12월 16일(월) | 2월19일(수) |
2월 16일(일) ※추가 시험 실시 |
HSK 1 ~ 6 급 | • 인터넷접수 : 1월 2일(목) ~ 1월 19일(일) |
3월 17일(월) |
3월 22일(토) | HSK 1 ~ 6 급 | • 인터넷접수 : 2월 5일(수) ~ 2월 23일(일) |
4월 22일(화) |
4월 12일(일) | HSK 1 ~ 6 급 | • 인터넷접수 : 2월 26일(수) ~ 3월 16일(일) |
5월 19일(화) |
5월 17일(토) | HSK 1 ~ 6 급 | • 인터넷접수 : 4월 2일(수) ~ 4월 20일(일) |
6월 17일(화) |
6월 22일(일) | HSK 1 ~ 6 급 | • 인터넷접수 : 5월 8일(목) ~ 5월 26일(월) |
7월 22일(화) |
7월 19일(토) | HSK 1 ~ 6 급 | • 인터넷접수 : 6월 4일(수) ~ 6월 22일(일) |
8월 19일(화) |
8월 17일(일) | HSK 1 ~ 6 급 | • 인터넷접수 : 7월 3일(목) ~ 7월 21일(월) |
9월 17일(수) |
9월 7일(일) | HSK 1 ~ 6 급 | • 인터넷접수 : 7월 24일(목) ~ 8월 11일(월) |
10월 14일(화) |
10월 18일(토) | HSK 1 ~ 6 급 | • 인터넷접수 : 9월 3일(수) ~ 9월 21일(일) |
11월 18일(화) |
11월 15일(토) | HSK 1 ~ 6 급 | • 인터넷접수 : 10월 1일(수) ~ 10월 19일(일) |
12월 15일(월) |
12월 7일(일) | HSK 1 ~ 6 급 | •인터넷접수 : 10월 23일(목) ~ 11월 10일(월) |
2026년 1월 7일(수) |
급수 | 입실시간 | 총 시험시간 |
---|---|---|
1급 | 오후 1시 30분 | 약 35분 |
2급 | 오전 9시 | 약 50분 |
3급 | 오후 1시 30분 | 약 85분 |
4급 | 오전 9시 | 약 100분 |
5급 | 오후 1시 30분 | 약 120분 |
6급 | 오전 9시 | 약 135분 |
급수 | 입실시간 | 시험 종료 예정 시간 |
---|---|---|
1급 | 오후 1시 30분 | 오후 2시 45분 | 2급 | 오전 9시 | 오전 10시 30분 | 3급 | 오후 1시 30분 | 오후 3시 35분 | 4급 | 오전 9시 | 오전 11시 20분 | 5급 | 오후 1시 30분 | 오후 4시 10분 | 6급 | 오전 9시 | 오후 12시 5분 |
HSK 등급 | 어휘량 | 수준 | 국제 중국어 능력 기준 |
---|---|---|---|
HSK 6급 | 5,000단어 이상 | 중국어 정보를 듣거나 읽는데 있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중국어로 구두상 또는 서면상의 형식으로 자신의 견해를 유창하고 적절하게 전달할 수 있다. | 5급 |
HSK 5급 | 2,500단어 이상 | 중국어 신문과 잡지를 읽을 수 있고, 중국어 영화 또는 TV프로그램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중국어로 비교적 완전한 연설을 할 수 있다. | |
HSK 4급 | 1,200단어 이상 | 여러 분야의 화제에 대해 중국어로 토론을 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유창하게 중국인과 대화하고 교류할 수 있다. | 4급 |
HSK 3급 | 600단어 이상 | 중국어로 일상생활, 학습, 업무 등 각 분야의 상황에서 기본적인 회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중국여행 시 겪게 되는 대부분의 상황에 중국어로 대응할 수 있다. | 3급 |
HSK 2급 | 300단어 이상 | 중국어로 간단하게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화제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다. | 2급 |
HSK 1급 | 150단어 이상 | 간단한 중국어 단어와 문장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기초적인 일상 회화를 할 수 있다. | 1급 |
구분 | 급수 | 응시료 |
---|---|---|
HSK IBT 1급 ~ 6급 | HSK IBT 1급 | 35,000원 |
HSK IBT 2급 | 50,000원 | |
HSK IBT 3급 | 70,000원 | |
HSK IBT 4급 | 90,000원 | |
HSK IBT 5급 | 110,000원 | |
HSK IBT 6급 | 130,000원 |
구분 | 급수 | 응시료 |
---|---|---|
HSK PBT 1급 ~ 6급 | HSK 1급 | 30,000원 |
HSK 2급 | 40,000원 | |
HSK 3급 | 60,000원 | |
HSK 4급 | 80,000원 | |
HSK 5급 | 100,000원 | |
HSK 6급 | 120,000원 |
구분 | 급수 | 응시료 |
---|---|---|
HSK 홈테스트 | HSK 1급 | 39,000원 |
HSK 2급 | 52,000원 |
시험회자 | 제73회 | 74회 | 75회 | 76회 | |
---|---|---|---|---|---|
시험시행일 | 2.16 (일) | 5.24 (토) | 8.9 (토) | 10.18 (토) | |
시행되는 시험 종류 | 기본, 심화 | 심화 | 기본, 심화 | 심화 | |
원서 접수 | 정기 | 1.14(화) 10:00 ~ 1.21(화) 17:00 |
4.22(화)10:00 ~ 4.29(화)17:00 |
7.8(화)10:00 ~ 7.15(화) 17:00 |
9.16(화) 10:00 ~ 9.23(화) 17:00 |
추가 | 1.27(화) 10:00 ~ 1.31(금) 17:00 |
5.6(화) 10:00 ~ 5.9(금) 17:00 |
7.22(화) 10:00 ~ 7.25(금) 17:00 |
9.30(화) 10:00 ~ 10.3(금) 17:00 |
|
결과 발표 | 2.28(금) | 6.5(목) | 8.22(금) | 10.31(금) |
시험 종류 | 시험 시간 | 내용 | 소요시간 |
---|---|---|---|
심화 | 10:00 ~ 10:10 | 오리엔테이션(시험시 주의 사항) | 10분 |
10:10 ~ 10:15 | 신분증 확인(감독관) | 5분 | |
10:15 ~ 10:20 | 문제지 배부 및 파본 검사 | 5분 | |
10:20 ~ 11:40 | 시험 실시(50문항) | 80분 | |
기본 | 10:00 ~ 10:10 | 오리엔테이션(시험시 주의 사항) | 10분 |
10:10 ~ 10:15 | 신분증 확인(감독관) | 5분 | |
10:15 ~ 10:20 | 문제지 배부 및 파본 검사 | 5분 | |
10:20 ~ 11:30 | 시험 실시(50문항) | 70분 |
종류 | 인증 등급 | 인증 기준 | 평가 수준 |
---|---|---|---|
심화 | 1급 | 80점 이상 | 한국사 심화 과정으로 차원 높은 역사 지식, 통합적 이해력 및 분석력을 바탕으로 시대의 구조를 파악하고, 현재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 평가 |
2급 | 70점 이상 80점 미만 | ||
3급 | 60점 이상 70점 미만 | ||
기본 | 4급 | 80점 이상 | 한국사 기초 심화과정으로 한국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사의 흐름을 대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과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사의 개념과 전개 과정을 체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능력 평가 |
5급 | 70점 이상 80점 미만 | ||
6급 | 60점 이상 70점 미만 |
원서 접수 | 시험 시행일 | 합격자 발표일 |
---|---|---|
- | 2025년 10월 25일(토) | - |
입실시간 | 시험과목 | 시험범위 | 출제비율 | 문항수 |
---|---|---|---|---|
제 1차 시험 1교시(2과목) |
부동산학개론 | 1. 부동산학개론(세부내역 하단 참조) | 85% 내외 | 과목당 40문항 (1~80번) |
2. 부동산감정평가(세부내역 하단 참조) | 15% 내외 | |||
민법 및 민사특별법 중 부동산 중개에 관련되는 규정 | 1. 민법의 범위 • 총칙 중 법률행위 • 질권을 제외환 물권법 • 계약법 중 총직·매매·교환·임대차 |
85% 내외 | ||
2. 민사특별법의 범위 • 주택임대차보호법 •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 가등기담보 등에 관한 법률 • 부동산 실권리자명의등기에 관한 법률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
15% 내외 | |||
제 2차 시험 1교시(2과목) |
공인중개사의 업무 및 부동산 거래신고에 관한 법령 및 중개실무 | 1. 공인중개사법 2.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
70% 내외 | 과목당 40문항 (1~80번) |
3. 중개실무 | 30% 내외 | |||
부동산공법 중 부동산 중개에 관련되는 규정 | 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 30% 내외 | ||
2. 도시개발법 3.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
30% 내외 | |||
4. 주택법 5. 건축법 6. 농지법 |
40% 내외 | |||
제 2차 시험 2교시(1과목) |
부동산공시에 관한 법령(부동산등기법,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및 부동산 관련 세법 | 1. 부동산등기법 | 30% 내외 | 과목당 40문항 (1~40번) |
2.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제2장제4절 및 제3장 |
30% 내외 | |||
3. 부동산 관련 세법 (상속세, 증여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제외) |
40% 내외 |
구분 | 세부내용 |
---|---|
부동산학 총론 |
1.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2. 부동산의 특성(속성) |
부동산학 각론 |
1. 부동산경제론 -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 - 부동산 가격이론 - 부동산의 경기변종 2. 부동산시장론 - 부동산 시장 - 입지 및 공간구조론 3. 부동산정책론 - 부동산정책의 의의 및 기능 - 토지정책 - 주택정책 - 부동산 조세정책 4. 부동산 투자론 - 부동산투자 이론 - 부동산 투자분석 및 기법 5. 부동산 금융론 - 부동산 금융·증권론 6. 부동산 개발 및 관리론 - 부동산 이용 및 개발 - 부동산 관리 - 부동산 마케팅 |
부동산 감정평가론 |
1. 감정평가의 기초이론 2. 감정평가방식 3. 부동산가격공시제도 |
구분 | 교시 | 시험과목 | 입실시간 | 시험시간 |
---|---|---|---|---|
제 1차 시험 | 1교시 | 개론/민법 | 09:00 | 09:30 ~ 11:10 (100분) |
제 2차 시험 | 1교시 | 중개사법/공법 | 12:30 | 13:00 ~ 14:40 (100분) |
2교시 | 공시법/세법 | 15:10 | 15:30 ~ 16:20 (50분) |
1~5월 | 6~8월 | 9~10월 |
---|---|---|
기본 이론 + 기출문제 과목별 개념 정리와 함께 주요 기출문제로 핵심이론을 복습하고 경향을 파악합니다. |
단원별 문제풀이 단원별 문제풀이를 통해 취약한 단원을 파악하고 실전 연습을 시작합니다. |
동형 모의고사 실제 시험과 유사한 모의고사를 통해 최종 점검을 합니다. |
회차 | 공고일 | 접수일 | 시험일 | 합격자결정 |
---|---|---|---|---|
제1회 | 1월 ~ 2월 | 2월 | 4월 | 5월 |
제2회 | 5월 ~ 6월 | 6월 | 7월~8월 | 8월 |
구분 | 문항수 | 배점 |
---|---|---|
고졸 | 각 과목별 25문항 (단, 수학은 20문항) |
각 과목별 1문항 당 4점 (단, 수학은 1문항 당 5점) |
구분 | 시간 | 과목 |
---|---|---|
1교시 | 09:00 ~ 09:40(40분) | 국어 |
2교시 | 10:00 ~ 10:40(40분) | 수학 |
3교시 | 11:00 ~ 11:40(40분) | 영어 |
4교시 | 12:00 ~ 12:30(30분) | 사회 |
중식 | 12:30 ~ 13:30(60분) | - |
5교시 | 13:40 ~ 14:10(30분) | 과학 |
6교시 | 14:30 ~ 15:00(30분) | 한국사 |
7교시 | 15:20 ~ 15:50(30분) | 선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