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 소개
우리시대에 신화는 문화 산업의 가장 큰 도구가 된 듯하지만, 불과 100년 전 신화는 우리나라에서 매우 다르게 인식되고 있었다. 일제는 근대화의 명목으로 우리 전통문화를 미신으로 매도하였고, 우리는 과학의 이름 아래 신화를 배척하는 문화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였다. 아이가 아프면 병원에 가야하는 것이 지금으로서는 당연한 일이지만, 아이의 쾌유를 위한 엄마의 간절한 기도와 소망이 동반되었을 때 의학은 아이를 더 빨리 낫게 한다. 우리에게 신화는 그런 신비로움 그 자체였다.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분명히 우리의 핏속에 끓는 무형의 무한한 힘이었다. 그러한 신화의 힘을 망각하도록 조장한 일들이 일제 강점기 동안 참으로 많이 자행되었다. 이에 맞서 근대 지식인들은 여러 방편으로 일제의 문화전략에 맞섰다. 그 중에서 육당 최남선은 근대 문화 속에서 여러 소재 중 신화를 가장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그 중요성을 피력했던 학자로 평가할 수 있다. 후기의 친일 행적에 대한 논란을 차치하고 나면 1910년대부터 1930년대 초반까지의 그의 학문적 업적은 눈부실 정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남선 초기 활동과 중기 활동에 집중해서 논의할 것이다.
리뷰
상품평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팝업 메시지가 여기에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