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 소개
문화위기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인류가 삶의 위기를 감지하는 순간 누구나 문화위기를 직감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화위기(cultural crisis)의 개념이 본격적으로 학문과 연구의 대상으로 된 것은 “문화연구culture studies”라는 개념이 세간에 등장하면서부터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까지 우리에게 깊은 영향을 주었던 “문화연구(culture studies)”는 주로 ‘문화비판(culture critics)’에 편중되어 왔다. 한마디로 “비판이론으로서의 문화연구(cultural studies as critical theory)”(Ben Agger, 1992)였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비판연구의 대명사격인 마르크스주의가 득세하면서 문화비판은 “마르크스주의적 사회비판”의 맥락에서 이루어져 왔다. 물론 문화위기에 대한 문화비판은 소위 ‘사회비판’과 맥을 달리할 수는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문화교육 역시 문화비판교육으로 일관되어 왔다. 그러나 사회비판과 문화비판은 동일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엄밀히 말하면 ‘사회’라는 개념과 ‘문화’라는 개념은 결코 동일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르크스 식의 사회비판의 논리를 가지고 일상적인 ‘문화비판’의 영역에 직접 뛰어드는 것은 지나친 무리다.
가장 중요한 한계는 문화연구에서 ‘문화’라는 개념에 대한 공유된 정의(定意)도 부재한다. 또 다른 한계는 문화연구를 하면서도 이들에게는 연구 관점의 공유나 특히 ‘연구방법’에 대한 합의조차 없었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우리의 현실은 여전히 문화위기 속에 놓여 있다. 따라서 지금도 문화비판은 정당하며 더욱더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지속되는 문화위기의 현실 앞에서 버밍엄 학파(Birmingham School)의 문화연구조차 좌초됨으로써 이제 어느 연구자도 섣불리 문화연구를 계속할 엄두를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제 우리는 진정 문화위기를 제대로 비판하고 문화위기의 해법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문화본질을 파악해 내고 이해하는 ‘문화해석(culture interpretation, Hermeneutik von Kultur)’의 작업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이러한 문화해석(학)만이 진정한 문화교육의 조건이 될 수 있다.
리뷰
상품평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팝업 메시지가 여기에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