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 소개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가장 오랜 모습을 지닌 중세국어는 그 이전과 이후의 우리말을 살피는 탐험에서 베이스캠프의 역할을 한다. 우리말의 변화 역사를 17세기 이후 자료를 통해서 살펴볼 때도, 15세기 이전 한자 차자표기 자료를 통해 추정해 볼 때도 그 출발은 항상 15세기를 중심으로 하는 중세국어에서부터이다. 이것이 우리말의 역사에서 중세국어가 중요하게 생각 되는 이유이자 다른 시기의 국어와 구별되는 중세국어의 의의라고 할 수 있다.
언해본 『삼강행실도』가 내용적으로뿐만 아니라 언어적으로도 초보 학습자들에게 적합한 자료라는 사실은 이 자료를 통해 중세국어의 특징들을 체계적으로 파악해 보는 일이 가능함을 이야기한다. 중세국어의 특징에 대한 이해는 중세국어 문법서보다는 중세국어를 담고 있는 쉽고 흥미로운 자료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중세국어의 표기, 음운, 문법, 어휘와 관련해 각각 개별 항목들을 마련해 중세국어의 특징들을 설명한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이다.
자료를 바탕으로 중세국어를 공부할 수 있는 새로운 중세국어 개론서이다. 중세국어의 표기, 음운, 문법, 어휘를 언해본 『삼강행실도』의 실제적인 언어 모습을 통해 익힐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중세국어의 다양한 내용들이 항목별로 정리되어 있어 필요한 내용을 쉽게 찾아 공부할 수 있다
리뷰
상품평
아직 상품평이 없습니다.
팝업 메시지가 여기에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