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스콘 0

장바구니

장바구니에 상품이 없습니다.

태국 들여다보기

  • H.Press
출판
21.67
MB
소장
19,000스콘
180일 대여
원래 가격: 19,000스콘.현재 가격: 9,500스콘.50
소장
19,000스콘
180일 대여
원래 가격: 19,000스콘.현재 가격: 9,500스콘.50

작품 소개

태국은 우리에게 잘 알려진 나라라고 생각하면서도 또, 한편으로 보면 태국에 대해서 제대로 알고 있는 한국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아마도 많은 사람들이 피상적으로 알고 있는 것에서 그치고 한걸음 더 나아가 그 안을 들여다보는 데에는 좀 인색한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태국어를 처음 접한 것이 벌써 37년 전의 일입니다. 그동안 태국에 대해서 많은 호기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가르쳐왔습니다. 그러다 보니 태국에 대한 애정도 많이 생겼습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태국어를 전공하는 학생들 외에도 태국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태국에 대해 알리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태국 들여다보기』 라는 책을 내게 되었습니다.

 

 

책 속으로

 

정환승

제 1장 태국, 태국 사람, 태국 문화

 

자유의 땅 타이랜드

태국이라는 나라와 처음 인연을 맺은 것은 대학에 들어와 전공을 태국어로 선택하면서부터였다. 입학하고 처음 태국어를 배우기 시작할 때 외국인 교수가 “타이”라는 말은 태국이라는 나라와 타이족을 가리키는 말 외에 ‘자유로움’이라는 의미가 있다고 말씀해주셨다. 학부 공부를 마치고 유학길에 올라 태국에 갔을 때 나는 남부의 쏭클라대학교로 가기 전에 방콕에 사나흘 머물렀다. 방콕에서 일을 마치고 남부로 내려가는 기차표 예매를 위해 후어람퐁역으로 갈 때 당시 먼저 유학하고 있던 선배 한 분이 오토바이를 태워준 적이 있었다. 그때도 방콕은 이미 교통체증이 아주 심하던 때였다. 꽉 막힌 도로에서 자동차들이 신호등에 걸려 줄지어 서 있었다. 그런데 자동차 사이로 오토바이들이 뚫고 들어가 정지선 맨 앞쪽으로 이동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아무도 짜증을 내거나 경적을 울리는 사람이 없었다. 그때 나는 태국이라는 나라가 “타이랜드” 즉, ‘자유의 땅’임을 실감할 수 있었다. 유학하면서 태국의 사회를 좀 더 깊이 들여다 볼 수 있었는데 과연 태국은 가난한 사람이나 부유한 사람이나 다 같이 자유롭게 살 수 있는 나라라는 것을 더욱 실감하게 되었다.

태국의 국기는 적색과 청색 그리고 백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뜨라이롱”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세 가지 색’이란 뜻이다. 적색은 국가, 청색은 국왕, 그리고 백색은 종교를 뜻한다. 이 세 가지 색이 상징하는 것들이 바로 오늘날 태국이라고 하는 나라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이다. 태국은 인도차이나반도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공식 명칭은 타이 왕국이며 영어로는 ‘Kingdom of Th ailand’로 표기한다. 보통 짧게 타이랜드라고 부르거나 타이를 음역하여 태국이라고 부른다. 정확한 위치는 북위 5도 37분에서 20도 27분에 걸쳐 있고 동쪽으로는 90도 27분, 서쪽으로는 105도 37분에 걸쳐 있다. 우리와 경도가 30도 차이가 난다. 그래서 우리와 두 시간 시차가 발생하는데 태국이 두 시간 늦다. 태국 지도를 보면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는데 위아래로 길이가 1,645km, 동서로 폭이 1,278km에 이른다. 태국의 땅 모양을 어떤 사람은 코끼리와 흡사하다고 하고 또 어떤 사람은 도끼처럼 생겼다고 하기도 한다. 동쪽으로 라오스와 캄보디아, 서쪽으로 안다만해와 미얀마, 북쪽으로 라오스, 남쪽으로 타이만과 말레이시아와 접해 있다. 면적은 513,000 km2로 한반도의 두 배가 넘는다.

 

호수 문화

태국의 인구는 약 6,650만이며 방콕에만 560만 이상이 살고 있다. 인종별로 보면 타이족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나머지는 중국계 13.5%, 말레이계 2.9%, 그리고 기타 소수종족으로 이루어져 있다. 말레이계는 주로 남부의 말레이시아와 인접한 5개 주에 모여 살고 있으며 소수종족들은 주로 태국 북부를 중심으로 한 고산 지대에 분포되어 있다. 태국인의 90% 이상이 불교도이며 남부 말레이계들을 비롯한 이슬람교도가 6% 정도 된다. 기독교는 2% 정도이고 기타 다른 종교가 2%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기후는 고온 다습한 아열대성 기후로 연평균 기온이 28도이고 습도는 70%이다. 태국은 이처럼 각기 다른 여러 종족들이 모여들어 한 국가를 이루고 살면서 타이 문화라고 하는 독특한 문화를 만들어냈다. 그래서 일부 인류학자들은 타이 문화를 호수 문화라고 부르기도 한다. 여러 갈래로 흘러 들어온 개울이 물의 속성을 잃지 않고 다시 커다란 호숫물이 되듯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종족들이 모여 동질성을 가진 타이 문화를 만들어낸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밥과 생선으로 배불리 먹는 나라

태국은 산악과 산림이 많은 북부 지역과 광활한 쌀 농경지인 중부 평야 지역, 준準농경지가 많은 북동부 고원 지역, 그리고 열대 섬과 긴 해안의 남부 반도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통적인 농경 국가로 짜오프라야강 유역은 완만한 평지인데 비옥한 대지와 풍부한 강수량으로 아시아의 곡창 지대로 불리고 있다. 그래서 최근 얼마 전까지만 해도 태국은 세계 최대 쌀 수출국이었다. 태국의 지형은 해안 쪽 경사가 완만하여 잦은 침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바다에서 80km 떨어진 곳까지 조수의 영향을 받는다.

태국은 농경 국가이다 보니 쌀을 주식으로 하는 음식 문화가 발달하여 오래전부터 “농부는 국가의 중추”라는 말이 생겨났다. 또한 더운 나라라서 강을 끼고 마을과 도시가 발달하고 생선을 즐겨 먹는 음식 문화도 발달하였다. 태국인들은 옛날부터 오늘날까지도 쌀과 생선을 주식으로 한다. 13세기 람캄행 대왕 비문에 “물에는 물고기가 있고 논에는 벼가 있다”라는 문구가 있는데 이는 당시 쑤코타이 백성들의 삶이 무척 풍요로웠다는 뜻이다. 오늘날 태국인들의 여유와 미소는 불교에 기반한 인과응보 사상 외에 의식衣食이 족했던 것도 한몫하고 있는 것 같다.

목차

제1장 태국, 태국 사람, 태국 문화 11

자유의 땅 타이랜드 | 호수 문화 | 밥과 생선으로 배불리 먹는 나라 | 타이족의 남하 | 타이 문화의 출현 | 태국 문화의 특징

 

제2장 쑤코타이 시대 이전의 태국 27

태국의 기록 문화 | 전설에서 역사로 | 쑤코타이 시대 이전의 초기 왕국들

 

제3장 절대 군주제 시대의 태국 41

행복의 아침-쑤코타이 시대 | 불멸의 제국-아유타야 시대 | 재화의 도시-톤부리 시대

(1767~1782) | 제석천의 보석-랏따나꼬신 시대

 

제4장 입헌 군주제 시대의 태국 79

입헌혁명과 영구 헌법 공포 | 진보 세력과 보수 세력 간의 갈등 | 버워라뎃 반란과 라마 7세의 왕권 포기 | 피분쏭크람 정부의 등장 (1938~1944, 1948~1957) | 제2차 세계대전과 양다리 외교 | 쿠데타 시대의 정치 | 태국의 ‘잔인한 5월’ | 탁신의 등장과 반복되는 쿠데타

 

제5장 옐로우 셔츠와 레드 셔츠 99

노란색과 빨간색의 대립 | 탁신 시대의 개막 | 옐로우 셔츠의 등장과 탁신의 몰락 | 탁신의 시련과 레드 셔츠의 등장 | 끝나지 않은 싸움 | 새로운 정치 실험과 태국의 앞날

 

제6장 국왕의 성격과 위상 115

온정주의적 국왕 | 법왕주의적 국왕 | 신권주의적 국왕 | 법왕주의로의 회귀 | 국왕찬가

 

제7장 태국인의 삶과 불교 129

불교의 전래 과정 | 소승불교의 수용 | 출가 수행 | 승려와 사원의 역할 | 태국의 불교 명절 | 태국인은 왜 불교를 믿는가?

 

제8장 태국 불교 사원의 구조 151

태국 사원의 구조 | 불탑 | 법당과 불당 | 사원 내의 조각물

 

제9장 불교 사원과 불교 예술 169

불교 속의 예술 | 쑤코타이 왓마하탓 사원의 주탑 | 왓프라씨싼펫의 불탑 | 왓아룬 사원의 쁘랑 | 왓프라깨우 사원의 법당 | 최초의 국립대학 왓포 사원

 

제10장 힌두 문화와 크메르 유적 187

힌두교의 유래 | 힌두교와 태국의 국왕 | 태국 속의 크메르 유적 | 나컨랏차씨마의 피마이 신전 | 부리람의 파놈룽 신전 | 롭부리의 프라쁘랑쌈엿 | 깐짜나부리의 므앙씽의 신전

 

제11장 태국의 세계 문화유산 201

쑤코타이 및 인근 도시 | 쑤코타이의 사원 | 씨?차날라이의 사원 | 깜팽펫의 사원 | 아유타야 역사도시 | 폐허 속의 역사 도시

 

제12장 태국의 의복 문화 221

태국의 의복 문화 | 쑤코타이 시대의 의복 문화 | 아유타야 시대의 의복 문화 | 랏따나꼬신 시대의 의복 문화 | 라마 4세 시대의 의복 문화 | 라마 5세 시대의 의복 문화 | 라마 6세 시대의 의복 문화 | 라마 7세 시대의 의복 문화 | 라마 8세 시대의 의복 문화 | 라마 9세 시대의 의복 문화

 

제13장 태국의 음식 문화 241

음식의 스펙트럼이 넓은 나라 | 음식의 맛과 재료 |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음식 | 태국어 속의 음식 문화 | 태국의 음식 문화의 특징

 

제14장 태국의 주거 문화 261

높은 마루에서 생활하는 사람들 | 북부 지방의 주거 문화 | 중부 지방의 주거 문화 | 북동부 지방의 주거 문화 | 님부 지방의 주거 문화

 

제15장 태국 문화 속에서 물의 의미 273

물과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 | 물의 속성과 삶의 철학 | 지리적 조건과 물의 문화 | 정화 의식

 

제16장 한국과 태국의 언어 문화 285

한국어와 태국어의 유사성 | 문화적 이질성 | 문화적 동질성 | 언어와 문화 | 기후와 언어 문화 | 의복과 언어 문화 | 음식과 언어 문화 | 주거와 언어 문화 | 감각어의 차이 | 지리적 요인과 언어 문화 | 역사적 요인과 언어 문화 | 종교적 요인과 언어 문화

 

제17장 한국인과 태국인의 죽음관 307

언어 속의 죽음 | 한국인의 죽음관 | 태국인의 죽음관 | 한국어와 태국어의 죽음 표현

 

제18장 전통 결혼과 가족 제도 325

전통 결혼 | 택일 | 결혼 예물 | 혼례 의식 | 성수 의식 | 가족 제도

 

제19장 태국인의 작명 문화 339

이름 짓기와 이름 부르기 | 이름 짓기의 변천사 | 태국인의 닉네임 | 작명에 나타난 태국의 사회와 문화

 

제20장 태국인의 국민성과 가치관 355

굶주림을 모르는 풍요로움 | 태국인의 국민성 | 조급한 한국인과 느긋한 태국인

 

제21장 태국인 금기 369

삶의 안전장치 | 식생활 관련 금기 | 주거 문화 관련 금기 | 동물 관련 금기 | 종교와 신앙 관련 금기 | 결혼 생활 관련 금기

 

제22장 명절과 축제 383

태국인의 설날 쏭끄란 | 러이끄라통 축제 | 낀쩨 축제

 

제23장 영화 〈홈롱〉 속의 사회와 문화 399

〈홈롱〉 속의 사회와 문화

 

제24장 드라마 〈붑페싼니왓〉 속의 아유타야 409

시대적 배경 | 드라마 속의 아유타야 사회와 문화

 

제25장 태국의 전통 무술 무에타이 423

무에타이의 유래 | 무에타이의 특징 | 와이크루 의식 | 왕들도 즐기던 무에타이 | 무에타이 선수가 되는 길 | 무에타이의 미래

 

제26장 태국 여성의 지위 435

남존여비 | 불교와 여성의 지위 | 모계 사회와 여성의 지위 | 산업화와 여성의 지위 | 근대사회에서 여성의 지위

 

제27장 태국의 제3의 성 449

남성 속에 갇힌 여성 | 여성화 과정 | 끄라터이의 기원 | 성 소수자의 삶 | 성전환 수술 | 〈뷰티플 복서〉

 

제28장 북부의 고산족 461

높은 지대에 사는 소수 민족 | 태국 정부의 고산족 정책

 

제29장 중국계 태국인 481

태국으로 건너온 중국인들 | 중국인의 유입 | 중국인 포용 정책 | 중국어 교육 정책 | 중국인의 역할

 

제30장 남부의 이슬람교도 495

태국 속의 다른 풍경 | 의식주 문화 | 남부 무슬림들의 정체성 | 남부 지역의 역사와 갈등의 배경 | 동화 정책 | 분리주의 운동 | 무마 정책 | 불교도와 이슬람교도의 인식 차이 | 분리주의 무장 세력 | 최근의 동향 | 해결 방안

 

제31장 한태 관계 60년 517

한국과 태국의 첫 만남 | 태국의 한국전 참전 | 빳따니-나라티왓 도로 건설 | 정치 외교 관계 | 동포 사회 | 한태 국가 이미지 | 한태 관계의 미래

 

저자 정보

  • 정환승

    • 국적 해당 정보가 없습니다.
    • 출생
    • 학력 한국외국어대학교 태국어과 졸업
      태국 Prince of Songkla University 대학원 졸업 (태국어학석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졸업 (언어학박사)
    • 이력

업데이트

업데이트 내역이 없습니다.

리뷰

0
(0.0명)

상품평

아직 상품평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