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0

장바구니

장바구니에 상품이 없습니다.

WATER

0점 (0명)
  • 경상국립대학교 출판부
출판
57.94
MB
소장

18,500

소장

18,500

작품 소개

작품 소개

물 친화적 도시는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가?
이른바 ‘물의 도시’ 만들기 프로젝트가 시작된다!

도시 팽창으로 강은 오염되었고 오수관은 도시 곳곳으로 확장되었다. 현대의 도시는 무분별한 개발로 열을 높아지고 갈수록 홍수에 취약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식물들이 자라는 습지를 도시 지역에 설치해야 한다. 콘크리트 거리를 식혀줄 수 있는 다양한 초본류, 관목류 및 교목류가 자라도록 하는 방법들도 강구되어야 한다. 인간이 살기 좋은 도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도시 관리가 물의 관리와 일맥상통해야 하며, 물 관리가 잘 될수록 도시의 가치는 높아진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현대의 도시가 겪을 수 있는 환경 문제를 물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른바 ‘물의 도시’ 만들기다. 저자가 제시하는 ‘물의 도시’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홍수를 통제하고 예방하기 위한 ‘그린 인프라스트락쳐 (green infrastructure, GI)’ 실행 기법, 홍수를 관리하여 자원화하는 정책, 하류 지역을 침수시키지 않으면서 홍수를 예방할 수 있는 하천 관리 방안, 물놀이와 낚시를 안심하고 할 수 있는 하천 구역 보전 정책, 오염된 물을 자연적인 방법으로 정화하는 효율적 습지 조성 방법, 야생 동물과 철새에게는 서식처와 쉼터를 제공하고 사람에게는 물을 이용한 여가 활동을 제공하여 야생 동물과 철새를 관찰하고 여가를 즐기려는 국내 및 국외 관광객을 유인할 수 있는 생태하천복원 기술, 맑고 푸른 강과 하천 및 호수와 공존하면서 살기 좋고, 걷기 좋으며, 자전거를 즐길 수 있으면서 시민들의 자산 가치를 더 높일 수 있는 ‘스마트 성장 패러다임 구현 도시’정책, 옥상 정원, 빗물 정원, ‘스트리트 트리 피트(street tree pits)’, 소규모 인공습지, 식생가능한 저류지, 스왜일(swales) 및 배이슨(basin)과 같은 ‘저충격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 접목으로 도시 열섬현상을 예방하여 시원한 도시를 구현하고, 계절별로 다양하게 개화하는 꽃으로 유익 곤충 및 벌과 나비가 뛰고 날아다니는 생태적 도시를 구현하는 방안, 그리고 보다 더 건강하고 다양한 생물먹이망(food web)이 보장되는 도시 환경 등이다.

또한 저자는 이 책을 영문으로 집필하여 관련분야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이나,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도움을 주고자 했다.

목차

목차

PREFACE
CONTENTS

Chapter 1. Water Sciences
1. Water Sciences

Chapter 2. Water resources
1. Surface Water
2. Groundwater
3. Water amounts on Earth?
4. Water on and in the Earth
5. Locations of Earth’s water

Chapter 3. Safe Drinking Water Act (SDWA)
1. Safe Drinking Water Act (SDWA)
2. Drinking water

Chapter 4. Quality Control of Surface Water: lakes, rivers, and streams
1. Control of stormwater
2. Control of wastewater
3. Control of watersheds
4. Control of groundwater
5. Control of impaired waters

Chapter 5. The mighty Mississippi River Journey: From Source to the Gulf of Mexico
1. The mighty Mississippi River
2. The History of The Mississippi River
3. The Mississippi River journey

Chapter 6. Factors Affecting the Roles of Rivers
1. Flooding and floodplains
2. Meanders
3. Dams and levees
4. Deltas
5. Estuaries
6. Intertidal zone
7. Seepage and quicksand
8. Sinkhole and internal erosion

Chapter 7. Riparian Buffers and Their Restoration
1. Riparian management
2. Riparian Zone Estimation Tool (RipZET)
3. Riparian buffers as a green infrastructure (GI)
4. Riparian buffer restoration
5. Restoration practices

저자 정보

저자 정보

  • 이동근

    • 국적 해당 정보가 없습니다.
    • 출생
    • 학력 서울대학교 화학공학과 학사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화학공학과 석사·박사
    • 이력 해당 정보가 없습니다.

업데이트

업데이트

업데이트 내역이 없습니다.

리뷰

리뷰

0
(0.0명)

상품평

아직 상품평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