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과 미국 선교사

0점 (0명)
  • 북코리코
출판
6.26
MB
소장

28,000

소장

28,000

작품 소개

작품 소개

대만 최고 역사학자가 10년간 파헤쳐 밝혀낸 그날의 진실…
6·25전쟁과 미국 선교사들의 활약에 관한 미국 희귀자료들을 독보적으로 공개하다!
6·25전쟁은 한국사에서 매우 중요한 사건이다. 1948년 건국된 대한민국은 북한의 남침으로 인해서 그 존립이 위태롭게 되었다. 그러나 이 전쟁을 이겨냄으로 대한민국은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한국 기독교는 이런 국가적인 위기 가운데서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서 노력했다.
6·25전쟁은 한국 기독교 역사에서도 가장 중요한 사건이라고 말할 수 있다. 북한 공산주의자들은 기독교를 자신들의 주요 적 가운데 하나라고 생각하고 공격했고, 그 결과 한국 기독교는 수많은 생명을 잃었고, 교회는 파괴되었다. 하지만 이런 가운데 한국 기독교는 선교사들과 함께 대한민국과 한국인들의 영혼을 구하는 데 앞장섰다. 6·25전쟁 이후 한국 기독교가 급성장한 것은 결국 이런 노력을 사람들이 인정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이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진척되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에 6·25전쟁 가운데 선교사들의 역할을 집중적으로 조명한 연구서를 한국 독자들에게 소개하게 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이 책은 카이 인 앨리슨 헤이가(Kai Yin Allison Haga, 중국명 希家玹) 교수의 박사학위 논문, “6·25전쟁의 간과된 측면: 한국의 민족주의 발흥과 반식민주의, 그리고 마침내 발생한 내전에서 기독교와 미국 선교사들의 역할, 1884-1953”(An Overlooked Dimension of the Korean War: The Role of Christianity and American Missionaries in the Rise of Korean Nationalism, Anti-Colonialism, and Eventual Civil War, 1884-1953)을 번역한 것으로서, 6·25전쟁 기간 동안 활약한 미국 선교사들의 이야기를 주된 주제로 삼고 있다. 또한 미국 기독교가 개항기부터 일제강점기 내내 한국 사회 전반에 미쳤던 영향력이 해방 이후 남북한 정세 급변에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했던 것을 밝히고 있으며, 특히 미군정 시기 선교사들의 핵심 역할을 예리하게 꼬집었다.
이 책의 전반부에서는 한국 기독교의 역사적 발전을 추적한다. 한국과 미국 양쪽에서 엄중한 반공 이데올로기가 발생하고 형성되는 데 있어서 종교의 역할과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로써 종교가 한국과 미국 지도자들의 의사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밝혔다. 따라서 기독교가 한국의 근현대사에 미친 영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개괄서의 역할을 할 것이다. 후반부에서는 한국의 전쟁 지역과 미국의 정책결정 일선에서 전쟁의 진행에 관여했던 비국가 행위자들의 행보들을 추적한다. 초점은 군인이 아니라 민간인, 즉 국가 행위자가 아닌 비국가 행위자에게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분석은 한국전쟁 연구에서 매우 혁신적이고 독창적인 위치를 가진다.
이 책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6·25전쟁의 시작부터 끝까지 선교사들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에 대한 설명이다. 저자는 미 국무성과 미국 선교부의 방대한 자료를 이용하여 6·25전쟁과 미국 선교사들의 관계를 매우 자세하고 흥미롭게 설명하고 있다. 특히 이 책은 6·25전쟁에서 덜레스 장관의 역할과 전쟁 포로 문제에 있어서 미국 선교사들의 역할, 그리고 한미조약을 맺는 데 있어서 기독교의 역할을 잘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기독교사만이 아니라 한국사 자체에도 큰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책이 한국에서 기독교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목차

목차

목차 정보가 없습니다.

저자 정보

저자 정보

  • 카이 인 앨리슨 헤이가

    • 국적 해당 정보가 없습니다.
    • 출생
    • 학력 홍콩대학교(The University of Hong Kong) 미국학(American Studies) B. A. 졸업
      윌리엄 앤 메리대학교(College of William and Mary) 미국학(American studies) M. A. 졸업
      동 대학교 미국역사학(US History) Ph. D. 졸업
    • 이력 해당 정보가 없습니다.

업데이트

업데이트

업데이트 내역이 없습니다.

리뷰

리뷰

0
(0.0명)

상품평

아직 상품평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