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1 적정진료관리
1-1 정 의
1-2 양질의 의료개념
1-3 의료의 질 관리의 필요성
1-4 의료의 질 관리의 궁극적 목적 및 영역
Chapter2 적정진료의 역사
2-1 품질관리(Quality Control)의 개념과 역사
2-2 의료 질 관리 (Medical Quality Control) 의 역사
2-3 우리나라의 의료질 평가 역사
Chapter3 적정성 평가제도
3-1 의료이용도 관리 (Utilization Management)
3-2 의료감사 (Medical Audit)
3-3 적절성 평가지침 (Appropriateness Evaluation Protocol, AEP)
3-4 지연이유 목록 (Delay tool)
3-5 동료심사제도(Peer Review Organizations)
Chapter4 적정진료관리의 접근방법
4-1 도나베디언 이론
4-2 환자의 중증도 분류체계 (Severity classification system)
4-3 TJC의 10 단계
4-4 QI 활동의 10단계 모형
4-5 주진료 경로 (Critical Pathway, Care Map)
4-6 임상진료지침 (Clinical practice guideline)
4-7 환자중심진료 (Patient focused care, PFC)
Chapter5 적정진료관리의 기법
5-1 적정진료관리의 모델
5-2 적정진료관리의 도구
5-3 균형성과표 (BSC)
5-4 6시그마 (6-σ)
Chapter6 임상 질 지표
6-1 도입배경 및 개념
6-2 임상 질 지표의 특성
6-3 임상 질 지표 개발과정
Chapter7 환자 위험관리
7-1 환자의 안전
7-2 환자 안전관리이론
7-3 환자안전관리의 방법론
7-4 위험관리(RM)의 시행과정
7-5 병원감염
7-6 의료분쟁
Chapter8 환자만족도 관리
8-1 정 의
8-2 만족도 영향요인과 의료의 질
8-3 환자만족도 조사의 개념 및 필요성
8-4 환자만족도 조사 단계
8-5 조사대상 선정
Chapter9 의료의 질 평가제도
9-1 외국의 평가제도
9-2 우리나라의 평가제도
Chapter10 통계 기초
10-1 통계적 이해
10-2 모수통계 검정
10-3 비 모수통계 검정
Chapter11 적정 질 관리의 사례
11-1 병원사례
11-2 그 밖의 사례
11-3 적정 질 관리실무
부록 Appendix
1 병원신임평가 평가부문 구조
2 병원신임평가 질 관리부문
3 의료기관 인증조사
4 의료기관 인증조사 항목
리뷰
리뷰
상품평
아직 상품평이 없습니다.
팝업 메시지가 여기에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