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 소개
작품 소개

-최근의 사회현상은 빠르게 대규모로 변화하고 있다. 사회복지학은 사회현상을 주요 대상으로 다루는 심리학, 사회학, 경제학, 정치학 등의 사회과학 이론들을 응용하여 인간의 욕구와 문제해결을 위하여 종합적, 실천적으로 접근하는 학문 이다.
-본서는 사회복지사가 되고자 하는 사회복지과 및 사회복지 관련 학과 신입생들과 사회복지학을 처음으로 공부하는 학생에게 사회복지학 전반에 관하여 이해하고 체계를 세우는 데 도움을 드릴 목적으로 집필하였다. 저자들은 각 대학에서 다년간 사회복지개론 또는 사회복지학개론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매 학기 수업을 준비하면서 사회복지학개론 수업에서 무엇에 중점을 두어야 할지를 고민해 왔다. 소위 말하는 각론 분야를 장황하게 안내하여야 할 것인가 아니면 총론 분야를 좀 더 충실하게 다룰 것인가를 놓고서 고민한 끝에 저자 일동은 총론 분야를 좀 더 충실하게 다루는 교재를 집필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각론 분야는 각 대학에서 사회복지사 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필수과목 또는 선택과목으로 한 학기 분량으로 별도로 배울 기회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사회복지학을 처음 공부하는 학생들이 사회복지학에 관하여 기본적으로 알고 공부하면 더 좋을 내용들을 중심으로 사회복지학 교과목 지침에 근거하여 목차를 구성하였다. 총론 분야에 중점을 두고 집필하였으며, 각론 분야는 핵심 위주로 요약하여 제시하였음을 밝혀둔다.
본서는 제1부 사회복지의 기초, 제2부 사회복지의 역사와 복지국가, 제3부 사회복지의 대상과 실천방법, 제4부 사회복지의 정책분야와 실천영역 등 4부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제1부 사회복지의 기초에서는 1장 인간의 삶과 사회복지의 필요성, 2장 사회복지의 개념과 사회복지학, 3장 사회복지의 동기, 가치와 윤리, 4장 사회복지의 구성요소 등을 다루었다. 제1부에서 다루는 내용을 잘 이해하게 되면 사회복지학개론 뿐만 아니라 매 학기 배우게 될 사회복지 과목들을 이해하기 쉬울 것으로 본다.
제2부 사회복지의 역사와 복지국가에서는 5장 사회복지의 역사를 사회복지 역사 연구의 중요성, 서양 사회복지의 역사, 한국 사회복지의 역사로 나누어 집필 하였고, 6장 사회복지와 복지국가에서는 복지국가의 개념과 역사, 복지국가 발전론, 복지국가 유형론, 복지국가의 위기와 재편을 정리하였다.
제3부 사회복지의 실천방법에서는 7장 사회복지의 실천대상과 공급자를 정리 한 후, 8장 미시적 실천방법과 9장 중범위 및 거시적 실천방법을 다루었다.
제4부 사회복지의 정책분야와 실천영역에서는 10장에서 사회복지정책을, 11장에서 사회복지실천 영역을 대상별로 나누어 정리하였으며, 12장에서는 각 분야별 단체와 관련 기관을 구분 정리하였다. 13장에서는 사회복지의 전망을 사회적 가치와 제도의 변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사회복지, 사회복지의 대응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리뷰
리뷰
상품평
아직 상품평이 없습니다.
팝업 메시지가 여기에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