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 소개
작품 소개

글쓴이는 국어의 성조 현상을 종합적으로, 또 쉽게 집필하고자 하였다.
쉽게 집필하자는 의도는 분절음 층위에서의 용어를 가져와서 성조론에 적용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음소론에서 표면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바 이는 성조론에서는 표면성조로 이어진다. 기저형과 기저성조도 마찬가지이며 음소 배열 제약과 성조 배열 제약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연계성은 성조를 이해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이다.
국어에서 성조가 확인되는 지역은 동부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동부 지역의 큰 두 방언권이 바로 동남 방언과 동북 방언이다. 그 사이 강원 영동 방언이 존재한다. 다시 동남 방언은 몇몇 하위 방언권으로 나뉜다. 동북 방언도 하위 방언권을 설정할 수 있겠으나 현재 우리의 사정은 그 하위 방언권을 설정하기 어려운 실정에 놓여 있다. 그러니 동남 방언에 비해 그 기술 및 설명이 간략해질 수밖에 없다.
방언 자료는 글쓴이가 음성형을 실제로 확인한다는 원칙을 세웠다.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펴낸 경상남도, 경상북도, 강원도 편을 참고하고 실제 음성은 장서각 아카이브를 통해서 확인하려 하였다. 자연히 성조 표시가 제대로 된 방언 자료집이 나왔으면 하는 바람도 갖게 되었다. 2005년 이후 국립국어원의 지역어 조사 사업의 음성 자료 중 육진 방언, 경남 방언, 영동 방언 등도 활용할 수 있었다. 자연 발화를 먼저 듣고 거기에서 곡용형, 활용형의 표면성조를 확인하려
리뷰
리뷰
상품평
아직 상품평이 없습니다.
팝업 메시지가 여기에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