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0

장바구니

장바구니에 상품이 없습니다.

현대중국어 최소주의 생성문법

0점 (0명)
  • 한티미디어
출판
17.55
MB
소장

25,000

소장

25,000

작품 소개

작품 소개

‘언어’는 인간의 종 특성(species-specific)적 산물이다. 이 언어가 뇌에서 어떻게 만들어지고 작동하는가? 이를 규명하는 일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언어학은 생물학적으로나 인지학적으로나 인간연구의 본질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필자는 인간언어에 대한 뇌과학(Brain science)적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꽃’이 되리라 기대한다. 향후 ‘언어학(Linguistics)’은 그 생성과 작동 시스템을 규명하는 측면에서 전통적인 언어학, 문학 등의 영역 외에 생물학(Biology), 뇌 신경학(Brain neurology), 컴퓨터공학(Computer science), 심리학(Psychology), 철학(Philosophy) 등과 융합하여 발전할 것이다.
우리의 머릿속에서 언어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설명할 수 있는가? 또, 가능한 한 그것을 공식화할 수 있을까? 언어 능력은 인간이 본연의 타고난 생물학적 능력이기 때문에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이런 믿음에 근거하여 생성문법학의 관점에서 중국어의 통사(syntax)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 책은 총 6장으로 구성된다.
1장 언어관과 문법학
2장 자질
3장 단어
4장 구의 이해와 도출
5장 명사성 구
6장 동사성 구

특히 ‘5장 명사성 구’에서는 ‘명사구(NP)’, 양사구(ClP), 수사구(NumP), 한정사구(DP)등을 다룬다. ‘6장 동사성 구’의 편 폭은 매우 넓다. 동사구(VP), 형용사구(AP), 전치사구(PP), 부사구(AdvP), 경동사구(vP), 상조사구(AspP), 태조사구(VoiP), 양태사구(ModP) , 시제사구(TP) 및 보문사구(CP)에 속하는 초점사구(FocP), 화제사구(TopP), 어기사구(ForP) 등에 대해서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부정사구(NegP)에 대해 살펴본다.
독자들이 이 책을 통해 중국어 통사구조의 생성과 해석방법에 대해 아름다운 플랫폼을 만드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목차

목차

제1장 언어관과 문법학
1. 언어관
2. 문법학

제2장 자질
1. 정의와 속성
2. 형식자질
3. 자질과 연산

제3장 단어
1. 단어의 정의와 속성
2. 중국어 품사 분류 문제
3. 단어 분류

제4장 구의 이해와 도출
1. 구의 성격과 배열
2. 병합
3. 구 구조의 계층성과 순환성

제5장 명사성 구
1. 명사구(NP)
2. 양사구(ClP)
3. 수사구(NumP)
4. 한정사구(DP)

제6장 동사성 구
1. 동사구(VP)
2. 형용사구(AP)
3. 전치사구(PP)
4. 부사구(AdvP)
5. 경동사구(vP)
6. 조사구(PartP)
7. 양태사구(ModP)
8. 시제사구(TP)
9. 보문사구(CP)
10. 부정사구(NegP)

참고문헌

저자 정보

저자 정보

  • 김종호

    • 국적 해당 정보가 없습니다.
    • 출생
    • 학력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 대학원 졸업(학사/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박사 졸업
      전) 성신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부 교수
      UC. Berkeley, center for chinese studies visiting scholar(2002.2-2003.2)
      國立臺灣師範大學 文學院 國文係 客座敎授(2018.2-2018.8)
      北京語言大學 語言學係 短期 語言學敎授(2019.06.28-2019.07.05)
    • 이력 해당 정보가 없습니다.

업데이트

업데이트

업데이트 내역이 없습니다.

리뷰

리뷰

0
(0.0명)

상품평

아직 상품평이 없습니다.